핫이슈
신바람 채널
우리동네
- 홈
- 시민기자
- 우리동네
-
포천 저수지 기행 ⑮ 화현 저수지, 추동 저수지 2020-04-06 시민기자 이화준▲추동 저수지ⓒ시민기자 이화준포천 저수지 기행도 어느덧 막바지를 향한다. 이제 남은 저수지는 4곳. 창수면의 추동 저수지, 영북면의 소회산 저수지와 자일 저수지 그리고 화현면의 화현 저수지이다. 화현 저수지만 방향이
-
금주 2리 우리 동네를 소개합니다! 2020-04-03 시민기자 한결ⓒ시민기자 한결살구나무꽃이 활짝 피었다. 매년 이맘때쯤이면 벚꽃 구경을 하러 이곳저곳을 다녔었는데, 올해는 코로나19로 집에만 머무르고 있다. 그래도 집 앞마당과 동네에서라도 꽃을 구경할 수 있다. 꽃이 만발한 봄철 관
-
포천 저수지 기행 ⑭ 관인면 저수지 2020-04-02 시민기자 이화준궁예의 태봉국이 철원에 도읍을 정한 후, 궁예의 학정을 못 견딘 어진 관리들이 관직을 버리고 성 밖에 모여 살며 붙여진 이름 ‘관인면(官仁面)’, 이 관인면의 저수지를 둘러본다.중리 저수지▲중리 저수지ⓒ시민기자 이화준
-
영평 8경을 찾아서 ⑥ 화적연 2020-04-01 시민기자 이화준화적연을 처음 방문한 것은 2016년 8월이었다. 포천은 선친 고향으로 1년에 한 번 벌초하러 다녀가는 곳이었기에 여행지로는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았었다. 2016년 8월 캠핑장을 검색하다 화적연 인근에 있는 포천 자
-
포천 저수지 기행 ⑬ 자연경관이 뛰어난 일동면 저수지 2020-03-13 시민기자 이화준1895년(고종 32) 영평현이 포천군에 병합되면서 ‘동면’을 둘로 나누어 북쪽을 ‘이동면’, 남쪽을 ‘일동면’이라 부르게 되었다. 일동면에는 자연경관이 뛰어난 저수지가 있어 보는 이의 감탄을 자아낸다.▲기산 저수지ⓒ
-
영평 8경을 찾아서 ⑤ 선유담 2020-03-11 시민기자 이화준영평 8경 중 다섯 번째 절경인 ‘선유담(仙游潭)’은 이동면 도평리에 위치한다. 그런데 일동면과 이동면의 지명은 어떻게 유래가 됐을까? 조선 시대 영평현 동쪽에 있다 하여 ‘동면’이라 부르다가 1895년(고종 32)
-
포천 저수지 기행 ⑫ 이동면 연곡 저수지, 장암 저수지 2020-03-09 시민기자 이화준▲장암 저수지ⓒ시민기자 이화준이동면 중앙에 위치한 장암리는 마당 바위가 있어 ‘장암(場岩)’이라 불려왔다. 장암리에는 국망봉(1,167.2m)에서 흘러내린 맑고 깨끗한 물을 담아 둔 장암 저수지가 있다.장암 저수지는
-
영평 8경을 찾아서 ④ 와룡암 2020-03-05 시민기자 이화준▲영평천의 많은 바위ⓒ시민기자 이화준영평 8경 중 6번째 와룡암(臥龍巖)은 일동면 수입리 산내지동에 있었던 명승지이다. 와룡암이 있었던 수입리는 수입천과 영평천이 들어오는 것만 보이고 나가는 것은 보이지 않아 ‘수입리
-
포천 저수지 기행 ⑪ 영중면 저수지 기행 2020-03-03 시민기자 이화준영중면의 지명 유래는 영평군이 포천군에 병합될 때 영평의 중앙에 있는 곳이라고 하여 ‘영(永)’과 ‘중(中)’을 따서 ‘영중면’이라 하였다. 영중면의 금원관광낚시터, 야미천 가에 있는 레이크문 캠핑장의 저수지, 삼산저
-
영평 8경을 찾아서 ③ 창옥병과 암각문을 찾아서 2020-02-28 시민기자 이화준▲창옥굴ⓒ시민기자 이화준창수면 오가리 영평천 가에는 수직 절벽에 동굴을 뚫은 창옥굴과 여러 암각문이 새겨진 창옥병이 있다.영평 8경의 3경 창옥병(蒼玉屛)창옥병은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오가리 영평천변에 있는 병풍바위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