핫이슈
신바람 채널
우리동네
- 홈
- 시민기자
- 우리동네
-
영평 8경을 찾아서 ② 금수정과 암각문 2020-02-24 시민기자 이화준▲금수정 ⓒ시민기자 이화준농산물 직거래 장터인 ‘창수야 놀자!’로 유명한 창수(蒼水)면. 영평천의 푸르고 맑은 물이 창옥병(蒼玉屛) 연안으로 흐르기 때문에, 창옥병에서 ‘창’, 금수정(金水亭)에서 ‘수’를 차용해 창수
-
고모3리 마을사 책으로 펴내다 2020-02-17 시민기자 서상경고모리의 옛 지명은 고뫼 혹은 고묘앞, 고모동이다. 1914년 행정구역 통합 당시 고모리로 변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. 이 지명은 해발 380m의 고모산 혹은 노고산 아래 고모할미를 모시고 살았던 한 효부의 이야기에
-
영평 8경을 찾아서 ① 낙귀정지, 백로주, 청학동 2020-02-14 시민기자 이화준전국의 지역마다 빼어난 경치와 풍광이 좋은 곳을 선정해 경(景)을 붙였다. 포천의 영평현 역시 풍광이 뛰어나 선현들이 남긴 시와 글이 많고 유명하다. 그중 특히 아름답고 유서 깊은 곳 여덟 곳을 일컬어 영평 8경이라
-
포천 저수지 기행 ⑩ 금주 저수지, 백로주 암각문, 용바위, 태봉산 2020-02-10 시민기자 이화준금주리에는 해발 568m의 금주산이 있다. 금주산의 명칭 유래는 금(金)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. 실제로 일제 강점기에 영중 광산이라는 금광이 반세기 넘게 채금하였고, 1980년대 금주산에서 사금을 채취하였다.
-
‘모’여서 좋은 날, ‘도’여도 좋은 날 2020-02-10 시민기자 유예숙숫터 마을 윷놀이가 지난 1일에 있었다.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불안한 상황이지만, 몇 년 만에 하는 행사라 조촐하게 진행했다. ⓒ시민기자 유예숙윷놀이하는 날은 마을 잔치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. 음식을 푸짐하게 만들어
-
포천 저수지 기행 ⑨ 황금 연못 저수지와 성여완, 성석린 묘역 2020-02-03 시민기자 이화준신북면 삼성당리에 있는 황금 연못 저수지와 자일리에 있는 성여완, 성석린 묘역을 함께 둘러보며 역사 이야기를 풀어본다.황금 연못 저수지▲황금 연못 저수지ⓒ시민기자 이화준황금 연못 저수지가 있는 삼성당리는 삼성당(三星堂
-
영화 ‘상록수’의 마을, 내촌면 고장촌 2020-01-29 시민기자 서상경▲영화 상록수 캡쳐, 상록수 영화는 한국영상자료원 유튜브에서 감상할 수 있다. 기사 하단 링크 참조‘상록수’는 1935년 동아일보에 연재된 심훈의 장편소설이다. 일제강점기 농촌 계몽운동과 민족주의를 고취했던 작품으로
-
포천 저수지 기행 ⑧ 깊이울 저수지와 역사 유적 2020-01-29 시민기자 이화준포천 신읍동 곰 고개에 있는 삼연 김창흡 선생을 기리는 요산단과 심곡리에 있는 깊이울 저수지와 왕방산 암벽공원 그리고 이정남과 이시술 선생의 묘역을 돌아보며 역사 이야기를 풀어본다.▲요산단 전경ⓒ시민기자 이화준경기도의
-
포천 저수지 기행 ⑦ 상가채 저수지와 독립운동 2020-01-21 시민기자 이화준▲상가채 저수지ⓒ시민기자 이화준신북면 상가채리 저수지 인근에는 많은 문화재가 있다. 최익현 선생 생가터, 최익현 선생과 손자 최면식 선생을 기리는 채산사, 신라의 명신 최치원을 기리는 청성사 그리고 최면식 선생의 묘소
-
포천 저수지 기행 ⑥ 무네미 저수지, 호병 저수지 2020-01-16 시민기자 이화준2020년 새해에도 유교리에 있는 무네미(문례미) 저수지와 신읍동에 있는 호병 저수지를 둘러보며 지명 유례와 전통 이야기를 함께 알아보기로 한다.무네미(문례미) 저수지예로부터 유교리에는 무네미 논이 있었는데, 그 어원